클라우드웨이즈 서버 관리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. 서버 변경, 삭제, 복제 방법까지 모두 자세히 설명해두었으니, 참고하셔서 그대로 따라 진행해보세요.
클라우드웨이즈 서버 생성 방법
클라우드웨이즈 접속 및 로그인
먼저, 클라우드웨이즈 웹사이트(https://www.cloudways.com)에 접속합니다. 이미 계정이 있으신 분들은 로그인하면 되고, 아직 계정이 없으신 분들은 먼저 회원가입을 하셔야 합니다.
- 가입 방법은 [클라우드웨이즈 가입방법]을 참고해주세요.
서버(Servers) 메뉴로 이동
로그인 후 대시보드로 이동하면, 화면 왼쪽에 여러 개의 아이콘이 세로로 배치되어 있는 메뉴가 보입니다.
이 중 두 번째 서버 아이콘을 클릭하고, [Servers (서버)] 버튼을 클릭합니다.
서버 생성하기
[Server] 버튼을 클릭하면, 클라우드웨이즈에서 관리 중인 서버 리스트가 나타나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.
여기에서 기존에 생성한 서버들을 볼 수 있고, 새 서버를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.
서버 리스트 화면의 오른쪽 상단을 보면 [Add Server (서버 만들기)] 버튼이 보입니다.
이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서버를 생성할 수 있는 옵션이 담긴 설정 화면이 나타납니다.
서버 설정 옵션 입력
이제 새 서버를 만들기 위한 여러 가지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 여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하게 됩니다:
- 애플리케이션 선택: WordPress, Magento, Laravel 등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선택합니다.
- 이름 지정: 애플리케이션 이름, 서버 이름, 프로젝트 이름 등을 입력합니다.
- 클라우드 인프라 선택: DigitalOcean, AWS, Google Cloud, Vultr 등 원하는 클라우드 제공업체를 선택합니다.
- 서버 사양 설정: 서버의 RAM, CPU, 저장공간 등 자원을 설정합니다.
- 데이터 센터 위치 선택: 서버를 배치할 지리적 위치를 선택합니다.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를 선택하면 속도가 개선될 수 있습니다.
설정을 모두 마쳤다면, [Launch Now (지금 시작)] 버튼을 눌러 서버를 생성합니다. 서버 생성에는 몇 분 정도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.
서버 생성 완료 후 관리
서버가 생성되면, 클라우드웨이즈 대시보드 내에서 해당 서버의 리소스, 애플리케이션 설치 여부, 백업 설정, 보안 옵션 등을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.
서버 내부 접속은 SSH를 통해 가능하며, 필요한 경우 FTP/SFTP 정보도 함께 제공합니다.
- 자세한 내용은 [클라우드웨이즈 가입방법]을 참고해주세요.
클라우드웨이즈 서버 소유권 이동 방법
클라우드 기반 웹 호스팅 플랫폼인 클라우드웨이즈(CLOUDWAYS)는 사용자에게 간편하고 유연한 서버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. 클라우드웨이즈를 사용하다 보면 계정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:
- 기존 서버를 다른 팀원이나 고객에게 넘겨줘야 할 때
- 회사나 조직의 소유권 변경으로 인해 서버 관리자 계정을 바꿔야 할 때
- 개인 계정에서 조직 계정으로 서버를 이전하고자 할 때
이러한 경우 클라우드웨이즈의 ‘서버 이동(Transfer Server)’ 기능을 이용하면 손쉽게 서버를 다른 계정으로 이전할 수 있습니다. 이 문서에서는 클라우드웨이즈에서 서버를 다른 계정으로 이동하는 전체 과정을 단계별로 자세히 안내합니다.
서버(Servers) 메뉴로 이동
먼저 클라우드웨이즈 계정에 로그인합니다. 로그인 후에는 메인 대시보드 화면이 표시되며, 이 화면의 왼쪽에는 다양한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 세로 메뉴바가 있습니다. 이 메뉴바에서 위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서버(Servers)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그다음 [Servers (서버)] 버튼을 클릭합니다.
서버 소유권 이동 (Transfer Server) 기능 사용
서버 목록 중에서 이동하려는 서버의 이름 우측을 보면 점 세 개(⁝)로 된 아이콘이 있습니다. 이 아이콘은 서버에 대한 추가 옵션을 나타냅니다.
아이콘을 클릭하면 여러 가지 메뉴가 나타나는데, 이 중에서 [Transfer Server], 즉 서버 이동 메뉴를 선택합니다.
이 옵션을 통해 서버의 소유권을 다른 클라우드웨이즈 계정으로 이전할 수 있습니다.
이동할 이메일 계정 입력 및 이전 실행
서버를 이전할 대상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납니다.
여기서 주의할 점은, 이메일 주소는 반드시 클라우드웨이즈에 가입되어 있는 유효한 계정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.
정확한 이메일을 입력한 후, 하단의 [Transfer Server (서버 이동하기)] 버튼을 클릭하면 서버 이동 절차가 시작됩니다.
서버 소유권 이전 완료
서버 이동 요청이 정상적으로 접수되면, 해당 서버는 지정한 이메일 계정의 클라우드웨이즈 계정으로 이전됩니다.
이 과정에서 서버의 설정, 애플리케이션, 데이터 등은 모두 그대로 유지되며, 기존 계정에서는 해당 서버에 대한 접근 권한이 제거됩니다.
클라우드웨이즈 서버 복제 방법
클라우드 웨이즈에서 서버를 복제할 경우도 발생합니다.
- 테스트 환경(스테이징)을 만들고자 할 때
- 서버 설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 프로젝트를 시작하고자 할 때
- 특정 시점의 서버를 백업 형태로 저장해두고자 할 때
- 트래픽 증가를 대비해 동일한 환경의 서버를 미리 준비하고자 할 때
클라우드웨이즈에서는 단 몇 번의 클릭만으로 서버를 복제할 수 있으며, 복제된 서버에는 기존 서버의 모든 설정, 애플리케이션, 데이터가 그대로 포함됩니다.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쉽게 서버를 복제해보세요.
서버(Servers) 메뉴로 이동
먼저 클라우드웨이즈 계정에 로그인합니다. 로그인 후에는 메인 대시보드 화면이 표시되며, 이 화면의 왼쪽에는 다양한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 세로 메뉴바가 있습니다. 이 메뉴바에서 위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서버(Servers)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그다음 [Servers (서버)] 버튼을 클릭합니다.
서버 이동 (Transfer Server) 기능 사용
서버 목록 중에서 복제하려는 서버의 이름 우측을 보면 점 세 개(⁝)로 된 아이콘이 있습니다. 아이콘을 클릭하면 여러 가지 메뉴가 나타나는데, 이 중에서 [Clone Server (서버 복제)] 메뉴를 선택합니다.
이 옵션을 통해 서버를 복제할수 있습니다.
복제 서버 설정
복제 옵션을 선택하면 새로운 서버에 대한 설정을 지정할 수 있는 팝업 창이 나타납니다. 클라우드웨이즈 서버 복제(Server Cloning) 시 사용자에게 복제 옵션을 선택하도록 하는 설정 창입니다.
이 설정을 통해 복제 시 어떤 항목들을 포함할지 결정할 수 있으며, 디폴트로는 필수 데이터만 복사됩니다 (웹 파일 + 데이터베이스). 나머지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복사됩니다.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설정을 마무리 한뒤 [Proceed (진행)] 버튼을 클릭 합니다.
Server Configuration
- Settings : 서버 수준의 설정을 복제합니다. 예: PHP 버전, 패키지, 성능 최적화 설정 등.
➤ 활성화시키면 원본 서버의 시스템 설정이 복사됩니다.
Application Configuration
복제 대상 서버 안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관련 구성 요소들입니다.
- Domain : 복제된 앱의 도메인 설정을 포함할지 여부입니다.
➤ 일반적으로 복제 시 도메인은 초기화되는데, 동일하게 유지하고 싶다면 켜세요. - Cron Jobs : 특정 시간마다 실행되는 스케줄링 작업(Cron Job)을 포함할지 여부입니다.
➤ 워드프레스 예약 작업이나 자동화 스크립트를 유지하려면 반드시 켜세요. - Supervised Jobs : 지속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백그라운드 작업(예: 워커 프로세스)을 복사합니다.
➤ 워커 기반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켜는 게 좋습니다. - Settings : 애플리케이션 자체 설정(환경 변수, 기본 설정 등)을 복사합니다.
➤ 앱 레벨의 세팅 유지가 필요한 경우 켜세요. - Credentials : SFTP, SSH, DB 접속 정보 등 자격 증명 데이터를 포함합니다.
➤ 서버 관리자를 분리하지 않고 같은 환경을 유지할 경우 켜는 것이 편리합니다.
Team Configuration
- Team Access : 복제된 서버에 대해 기존 팀원들의 접근 권한을 그대로 유지할지 여부입니다.
➤ 같은 팀에서 계속 관리한다면 켜는 것이 좋습니다.
서버 복제 진행 및 완료 확인
복제 작업은 서버 크기와 애플리케이션 수에 따라 몇 분에서 수십 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.
복제가 완료되면 [Servers] 목록에 복제된 새로운 서버가 표시되며, 서버 이름에 “clone” 또는 유사한 식별자가 붙습니다.
복제된 서버에는 기존 서버의 애플리케이션, 설정 및 구성, 데이터베이스, 파일 및 디렉터리 구조 등이 모두 동일하게 복제되어 있기 때문에 즉시 운영하거나 테스트 환경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클라우드웨이즈 서버 삭제 방법
서버(Servers) 메뉴로 이동
먼저 클라우드웨이즈 계정에 로그인합니다. 로그인 후에는 메인 대시보드 화면이 표시되며, 이 화면의 왼쪽에는 다양한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 세로 메뉴바가 있습니다. 이 메뉴바에서 위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서버(Servers)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그 다음 [Servers (서버)] 메뉴를 클릭합니다.
서버 삭제 (Delete) 기능 사용
서버 목록 중에서 삭제하려는 서버의 이름 우측을 보면 점 세 개(⁝)로 된 아이콘이 있습니다. 아이콘을 클릭하면 여러 가지 메뉴가 나타나는데, 이 중에서 [Delete (서버 삭제)] 메뉴를 선택합니다.
이 옵션을 통해 서버를 삭제할수 있습니다.
서버 삭제 확인 절차
서버 삭제를 요청하면 다음과 같은 삭제 사유 선택 화면이 나타납니다. 이는 고객 지원 및 개선 목적을 위한 설문이므로, 실제 삭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 따라서 아무거나 선택해도 무방합니다.
선택 가능한 항목
- Downgrading: 서버 사양을 낮추려는 경우
- Location: 서버 위치 변경을 원함
- Provider: 서버 제공업체(예: AWS → DO) 변경
- Pricing: 요금 최적화를 위한 삭제
- Leaving: 계정 자체를 해지하려는 경우
- Other: 그 외 사유
[Still want to delete your server? (아직도 서버를 삭제하기를 원합니까?)] 체크 박스에 체크를 합니다.
[Type DELETE to confirm (확인을 위해 DELETE를 입력하세요)] 문구 아래 빈칸에 “DELETE”를 입력합니다.
실수로 삭제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입니다. 따라서 대문자로 DELETE를 확실하게 적어줘야합니다.
마지막으로 [Delete Server(서버 삭제)] 버튼을 클릭하면 서버가 영구적으로 삭제됩니다.
서버 삭제시 주의사항
- 삭제된 서버는 복구 불가능합니다.
- 백업이 없다면 모든 데이터가 영구 삭제됩니다.
- 클라우드웨이즈는 최근 14일 내 백업이 있는 경우 [Recovery Center]에서 복원이 가능할 수 있으나 보장되지 않습니다.
- 삭제 전 꼭 Create a Backup 링크를 통해 데이터 백업을 생성하세요.
클라우드웨이즈 서버 관련 글
클라우드웨이즈 서버와 관련된 다양한 글들이 있습니다. 단순히 서버 관리 방법뿐만 아니라, 처음 시작하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. 한 번씩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거예요.